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인벤

와우 인벤 애드온 자료실

[5.4] Bagnon 5.4.15 (한글버전)

가방,은행,길드 은행,공허 보관소+JPack

애드온 등록자
최종 업데이트 2014.04.07
카테고리 가방
클라이언트 버전 5.3.0
애드온 버전 5.3.4
조회수 97865
추천수 23
다운로드 수 31748
관심등록 수 426
Bagnon 5.4.15 한글 버전입니다. (KR_R11)

    개인적인 이유로 더는 와우를 플레이하지 않으며, 인벤도 가끔 들르는 정도입니다. 업데이트가 늦어지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오랫동안 못 해 드릴 수도 있습니다. 오류와 관련된 테스트는 북미 Starter Edition의 20레벨 이하의 캐릭터로 접근이 가능한 콘텐츠에 한해서만 가능합니다. (January 6, 2014)

※ JPack의 사용법은 본문 하단에 있는 파란색 글씨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오타 또는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Bagnon은 많은 분이 알고 계시듯이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하는 애드온 입니다.

- 가방, 은행, 길드 은행, 공허 보관소 등에 보관된 아이템을 한 개의 통합된 창에 표시
- 부 캐릭이 가지고 있는 아이템의 개수와 골드를 툴팁에 표시
- 품질, 퀘스트 아이템, 사용할 수 없는 아이템 등 종류에 따른 색상 구분
- Databroker, ItemRack, Wardrobe 지원











※ 세트 아이템 강조를 선택했을 때 에픽 아이템의 색상이 녹색으로 표시된다는 분이 계셔서 확인하시라고 스크린 샷 추가합니다. 왼쪽 부터 순서대로 세트 아이템(Deep Sky Blue), 녹템(Green), 파템(Blue), 에픽(Purple)입니다.

에픽 아이템이 보라색(Purple)으로 보이지 않고 진한 하늘색(Deep Sky Blue)으로 보이는 이유는 세트 아이템 강조를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세트 아이템 강조를 선택하면 장비 관리자에 의해서 세트로 설정된 아이템은 원래 색상이 무엇이었던지 상관없이 무조건 진한 하늘색 으로 표시됩니다. 이 진한 하늘색인 세트 아이템이 다른 아이템과 구분하기 힘들다면 세트 아이템 강조를 해제하세요.


〓〓〓〓〓〓〓〓 Bagnon에 통합된 JPack 사용법 〓〓〓〓〓〓〓〓

    5.4.0 (KR_R03)부터는 가방 정리를 도와줄 JPack을 Bagnon의 압축 파일 내에 통합시켰습니다. (JPack은 2011년 11월 9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버그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Borker 애드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JPack_Broker폴더를 삭제하고, 가방에 [정리] 버튼 추가를 원치 않을 경우 JPack_Ex를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JPack 자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3개의 폴더(JPack, JPack_Broker, JPack_Ex)를 모두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JPack에서 잘못된 위치에 나타나던 [정리] 버튼의 위치를 수정하였고, Bagnon 지원 기능을 제외하고 Onebag 등의 타 가방 애드온의 지원기능은 전부 삭제했습니다. 압축파일에 포함된 JPack은 가방 애드온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Bagnon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만 제대로 동작합니다.

    JPack의 [정리]버튼 때문에 Bagnon 가방 검색창의 길이를 약간 줄였습니다. JPack이 로드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코드를 추가하여 JPack을 비활성화시킬 경우 검색창의 길이는 원래 길이로 돌아오도록 하였습니다. (KR_R05에서 버튼을 하단으로 이동시키면서 검색창의 길이를 조정하던 코드는 삭제.)

    채팅창에 명령어 /jpack 또는 /jp를 입력하거나, 가방에 추가된 [정리] 버튼을 누르면 가방 내의 아이템이 정해진 순서대로 정리됩니다.

■ JPack 가방 정리 팁:
JPack/JPackConfig.lua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불러오면 아래 스샷과 같습니다.


8~12행의 false를 true로 바꾸면 해당하는 가방은 정리에서 제외됩니다.
15~22행의 false를 true로 바꾸면 해당하는 은행 가방은 정리에서 제외됩니다.

    가방의 순서는 기본 인터페이스 기준으로 [4][3][2][1][0] 이며 [0]이 기본 가방입니다. 은행의 경우 기본 인터페이스 기준으로 [-1]이 기본 은행 칸이며 [5][6][7][8][9][10][11] 순으로 아래쪽에 나열된 가방을 나타냅니다.

가방 내 정리되는 아이템의 순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25행과 54행을 삭제하여 주석을 제거합니다.
27~52행의 순서를 원하는 대로 바꾸면 정리 순서가 바뀝니다.

    아래쪽에 있는 JPACK_DEPOSITJPACK_DRAW도 동일한 원리로 동작합니다. 주석을 풀고 필요한 아이템을 등록해 놓고, 은행가방이 열린 상태로 [정리] 버튼을 시프트-클릭하면 JPACK_DEPOSIT에 등록된 아이템이 가방에서 은행으로 이동됩니다. 콘트롤-클릭하면 JPACK_DRAW에 등록된 아이템이 은행에서 가방으로 이동됩니다.


예:
JPACK_DEPOSIT = {
    "##원소",
    "##광물",
    "##약초",
    "#보석",
    "#가방"
}

JPACK_DRAW = {
    "#퀘스트",
    "##광물"
}


■ 카테고리:
    이쯤 되면 아이템 이름 중간에 들어있는 샾(#) 한 개와 두 개는 무슨 차이가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의문이 들 겁니다. 샾(#)이 포함되는 명칭은 정확한 아이템 이름을 적어주는 대신에 카테고리의 명칭을 사용합니다. 이 카테고리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방법 중 가장 쉬운 방법은 경매장을 열어보시면 됩니다. 경매장 창의 왼쪽에 아이템 분류가 있습니다. 무기, 방어구, 가방, 소비용품, 문양, 직업용품, 제조법, 보석, 기타, 퀘스트, 전투 애완동물 이렇게 있습니다. 그리고 무기를 클릭해 보면 하위 분류가 나타납니다. 한손 도끼류, 양손 도끼류, 활류, 총기류…… 형식입니다. 카테고리로 분류할 때는 #상위분류명칭##하위분류명칭 형식으로 적으면 됩니다. 즉 "#무기## 지팡이류"라고 적으면 이 분류에 들어가는 모든 아이템이 포함됩니다. 자신의 가방에 있는 모든 광물을 은행에 넣으려면 "#직업용품##광물" 또는 줄여서 "##광물"이라고 적으면 됩니다. 상위 카테고리만 적으면 모든 하위 카테고리가 포함됩니다. "#문양"은 하위 카테고리인 직업의 구분없이 모든 문양이 포함됩니다.


■ 아이템 이름으로 카테고리 확인하는 방법:
    아래 스크립트의 "아이템 이름" 부분을 원하는 아이템의 이름으로 바꾸고 채팅창에 입력하거나 매크로로 만든 후 실행하면 해당 아이템의 상위 카테고리와 하위 카테고리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un _, _, _, _, _, itemType, subType = GetItemInfo("아이템 이름"); print("상위 카테고리: "..itemType); print("하위 카테고리: "..subType);


〓〓〓〓〓〓〓〓〓〓〓〓〓〓 Q&A 〓〓〓〓〓〓〓〓〓〓〓〓〓〓

■ 댓글 3페이지 minubaram님 질문에 대한 답변

   말씀해주신 데로 아이템 이름은 "무두질용 손칼"이 맞네요. JPackConfig.lua 파일을 수정하실 때 주석 처리를 벗겨 내고 하신 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본문에 설명되어있는 데로 25행과 54행을 삭제하여 주석을 제거해야 합니다. 테스트 결과 이상이 없었습니다. 아래 두 가지의 경우 스크린 샷을 찍어봤습니다.

귀환석이 먼저 나오는 경우, JPackConfig.lua 파일

귀환석이 먼저 나오는 경우, 가방 정리 후


무두질용 손칼이 먼저 나오는 경우, JPackConfig.lua 파일

무두질용 손칼이 먼저 나오는 경우, 가방 정리 후



■ 댓글 4페이지 브럭님 질문에 대한 답변

   메시지로 보아 아이템 스택(겹침)과 관련된 에러로 보입니다. JPack이 아이템을 정리할 때 분리된 스택을 한 개로 합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4개 겹쳐진 바람양모 옷감과 11개 겹쳐진 바람양모 옷감이 두 개의 칸을 차지한다면 15개를 겹쳐서 한 개의 칸으로 만든 후 정렬하게 됩니다. 아시겠지만, 옷감이 겹쳐지는 최대 개수는 20개입니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 겹쳐지는 최대 개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서 합칠 수 없거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없는 아이템이 현재 캐릭터의 가방에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에러 메시지에 의하면 의심되는 아이템의 이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바람깃털 깃털
시대의 책
살이 많은 학 다리
맑은 정신의 마법서
사라짐의 가루
도둑맞은 클락시 휘장
돌연변이 물고기 별미
명인 치유 물약
푸짐한 판다렌 잔칫상
땜장이의 도구
떨리는 화염폭풍 알
양념 석류사과 저밈
노래하는 수정
봄꽃의 영약
거대거북 고기
바람양모 옷감
조화의 기운
토깽의 침
키파라이트
파티 수류탄
손목보호구 마법부여 - 상급 민첩성
조화의 티끌
계곡 볶음 요리
영원한 아침의 차

그리고 위 스크린 샷에 나온 물고기 모양의 아이콘을 가진 아이템입니다. 이건 에러 메시지에 아이템 아이디 없이 아이콘 경로만 나와 있네요.

   일반적으로 20개가 최대 겹침이니까 최대 겹침 개수가 20개가 아닌 아이템들로 범위를 줄일 수도 있겠습니다. 이 아이템들을 은행에 넣거나 부 캐릭터로 우편을 보낸 후 정리를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안 된다면 가능하면 최대한 가방을 비우고 일반적인(다른 캐릭터들도 소유한) 아이템만 가방에 남겨두고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 방법이 해당 에러의 정확한 해결책이 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일단 이렇게 해보신 후 결과를 알려주시면 에러의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다른 한글화 애드온 (등록 | 기타)
━━━━━━━━━━━━━━━━━━━━━━━━━━━━━━━━━━━━━━━━━━━━━━━━━━━━━━
AudioX II | AutoRepair | Bagnon + JPack | Castbars | DroodFocus | Quick Look | ReagentRestocker | Scrap(Junk Seller) | TalentMacros | TidyPlates | TidyPlates: ThreatPlates | TradeSkillMaster + 11 Modules | KuiNameplates + KuiSpellListConfig | TellMeWhen | VuhDo | WeakAuras 2

코멘트

코멘트(0)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서형준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2023.08.26 ~ 2026.08.25

인벤 온라인서비스 운영

(웹진, 커뮤니티, 마켓인벤)